AI, agents, and LLMs are increasingly replacing human labor. I feel this not only when I follow research trends, but also when I see the new technologies and products emerging from startups and big tech companies. Yet I can’t help but wonder—does it truly have value when our desires are fulfilled automatically, without any direct human effort?

Isn’t it an essential part of being human to think about what we want, plan how to achieve it, and carry it out ourselves? Would we truly want a life completely taken over by machines? In a future where AI replaces both our actions and our decision-making, what will become of “thinking,” that uniquely human ability?

For me, inefficiency has meaning. I want to explore the entire search space, understand it, and choose what I truly want on my own, even if it takes more time and effort. No matter how well AI claims to know me, I could never entrust my choices to a recommendation algorithm. Inefficiency, to me, is far more valuable.


AI, Agent, LLM이 점점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고 있다. 연구, 스타트업과 빅테크의 새로운 기술과 아이템 동향들을 보면서 느꼈다. 인간의 욕구를 직접 실행하는 행위없이 자동으로 결과가 주어지는 것은 과연 가치가 있을까? 무언가 원할 때 어떻게 이뤄나갈지 고민하고 계획해서 수행하는게 인간에게 중요하지 않나? 기계가 모든 것을 대신해 주는 삶을 과연 원할까? 모든 계획과 동작을 인공지능이 대체하는 미래에서 인간의 고유 능력인 “사고”라는 가치는 어떻게 존재하게 될까?

나는 비효율적이더라도 내가 search space를 모두 파악하고 인지하고 그 중에서 가장 원하는걸 선택해야 만족하는 사람으로서, 인공지능이 아무리 나를 잘 안다해도 추천 알고리즘에 내 선택을 맡기지는 않을 것 같다. “비효율”적이어도 나에게는 그게 훨씬 가치가 있다.